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김호영

최근작
2000년 9월 <연소이론>

김호영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및 미국 일리노이 대학 기계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및 연소학회 회장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액체연료 액적군의 비정상 집단연소」,「스토커형 소각로의 연소특성 및 연소모델에 관한 연구」, 'Theoretical Studies of Turbulent Spray Combustion of liquid Fuel',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lverized Coal Combustor with 2 Stage Combustion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연소이론> - 2000년 9월  더보기

연소현상을 흔히들 화학반응이 있는 유동장(chemically reacting flow)으로 표현한다. 즉 연소유동장은 기계공학의 중요분야인 열역학-유체역학-열전달로 이어지는 열공학 분야에 화학반응이 첨가됨으로 열과 물질의 생성과 소멸이 수반되는 유동으로서 열공학 분야에서 취급하는 유동장 중에서 제일 복잡한 유동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소이론은 제목과 같이 이론적인 접근방법, 즉 이론적인 모델의 구성과 이에 대한 해석적인 해를 구하고 이를 물리-화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다시 말하면 현재 연구되고 있는 복잡한 문제들, 다시 말하면 초대형 컴퓨터에서 수치 해석적인 방법으로만 수치해를 구할 수 있는 문제들보다는 이론적인 모델구성과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문제에 관련된 물리-화학적인 현상들을 이해할 수 있고, 되도록이면 해석적인 해가 존재하는 문제들을 소개하였다. 이는 무조건 수치 해석적인 방법에만 의존하여 문제에 포함된 중요한 현상들을 이해하기보다는 수치해를 구하는 것에만 목적을 두고 있는 근래의 연소문제의 접근태도에 조금이라도 해석적인 접근방법을 도입시켜 이에 익숙해짐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바람에서 기인한 것이다. 보다 정확한 연소현상의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대한 고려와 아울러 공간에 대한 차원을 증가시켜야 하며, 생성 소멸항들에 대한 정확한 모델이 적용되어야 하고 보다 많은 지배방정식들을 풀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책에서는 지배방정식의 유도과정은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을 택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문제의 모델구성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